사사카와 요헤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사카와 요헤이는 일본재단 회장으로, 모터보트 경주 협회 회장, 해양 정책 연구 재단 이사를 역임했다. 그는 체르노빌 사고 피해 어린이 의료 지원, 말라카 해협 안전 항해 지원, 글로벌 장학금 네트워크 구축 등 다양한 국제 원조 활동을 펼쳤다. 특히 한센병 퇴치에 헌신하여 WHO 한센병 퇴치 특별 대사로 활동하며, 유엔 인권위원회에서 한센병 차별 문제를 제기하고, MDT 보급에 기여했다. 또한 해양 문제, 중일 관계 개선, 국내 사회 공헌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미얀마 소수민족 복지 향상 대사로서 미얀마 문제에도 관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재단 사람 - 오구라 가즈오
오구라 가즈오는 도쿄 대학 법학부 졸업 후 외무성에 들어가 주영국, 주미국 일본 대사관 등에서 근무하고 주베트남, 주한, 주프랑스 대사를 역임한 일본의 외교관이자 학자이다. - 일본재단 사람 - 소노 아야코
소노 아야코는 1931년 도쿄에서 태어난 일본의 소설가이자 에세이스트로, 1954년 데뷔 후 꾸준히 작품 활동을 하며 다수의 베스트셀러를 냈지만, 여러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으며, 프로 에클레시아 에트 폰티피체 훈장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 일본의 자선가 - 아키히토
아키히토는 1933년 쇼와 천황의 장남으로 태어나 1989년 일본 천황으로 즉위하여 2019년 퇴위하고 상황이 되었으며, 어류학자로 활동하며 아시아 국가에 대한 사죄와 국민과의 소통에 힘썼다. - 일본의 자선가 - 야마우치 히로시
야마우치 히로시는 1927년 교토에서 태어나 2013년 사망한 닌텐도 경영인으로, 트럼프 사업, 장난감, 아케이드 게임 사업을 거쳐 게임&워치와 패미컴을 발매하며 닌텐도를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사사카와 요헤이 | |
---|---|
기본 정보 | |
이름 | 사사카와 요헤이 |
한자 표기 | 笹川 陽平 |
로마자 표기 | Sasakawa Yōhei |
출생일 | 1939년 1월 8일 |
출생지 | 도쿄부 |
직업 | 사회운동가 |
가족 | 아버지: 사사카와 료이치 |
형제 | 둘째 형: 사사카와 다카시 |
친척 | 조카: 사사카와 히로유키 |
자녀 | 장남: 사사카와 다카오 (사업가) 차남: 사사카와 준페이 (일본재단 이사) 삼남: 사사카와 고헤이 사남: 사사카와 쇼헤이 (사업가) |
학력 | 메이지 대학 정치경제학부 졸업 |
경력 | |
주요 직책 | 일본재단 회장 사사카와평화재단 명예회장 도쿄재단 고문 |
기타 직책 | 세계보건기구 한센병 퇴치 대사 |
활동 | 한센병 인권 계발 대사 |
수상 및 훈장 | |
수상 | 간디 평화상 |
훈장 | 문화공로자 |
훈장 | 욱일대수장 |
기타 정보 |
2. 활동 개요
사사카와 요헤이는 전국모터보트경주회 연합회 회장, 재단법인 일본조선진흥재단(현 해양정책연구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으며, 1989년에 일본재단 이사장에 취임했다. 2005년 7월 소노 아야코 회장이 물러난 뒤 회장에 선임되었다.[4] 일본에서의 이미지는 사회봉사를 하는 모습이지만, 자금의 출처는 도박 사업에서 나오는 돈이다.
사사카와는 기획과 리더십으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는 사회적 기업가로 알려져 있다. 그의 주요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다.[1]
주요 프로젝트 |
---|
그의 국제 원조 활동은 식량 안보, 보건 의료, 교육이라는 삶의 필수적인 세 가지 영역에 집중되어 왔다. 일본 국내에서의 원조 활동은 정부 정책이 다루지 않는 영역, 즉 국가 비정부기구와 자원봉사 활동의 개발,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 향상, 그리고 일본 전역의 복지 단체에 2만 대의 복지 차량 기증 등에 집중되어 있다.[1]
사사카와는 현대의 문제는 공동의 해결책을 필요로 한다고 믿고 있으며, 정치, 정부, 학계, 민간 부문을 아우르는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해 왔다. 그 한 예로, 그는 전 체코 대통령 바츨라프 하벨과 함께 11년 동안 포럼 2000을 감독해 왔다. 이는 전 세계의 전문가와 저명인사들을 한자리에 모아 글로벌 이슈를 논의하는 것이다.[1]
그의 국내 활동 또한 해상 해적 행위와의 싸움을 위한 대책 개발, 북한 스파이 선박 운영의 공개, 호스피스 간호사 양성, 범죄 피해자 지원 네트워크 구축 등 광범위한 영역을 다루고 있다. 사사카와는 또한 2007년 일본 기본 해양법 통과를 위한 노력과 도쿄 마라톤 조직에서의 중추적인 역할로도 알려져 있다.[1]
사사카와는 한센병 퇴치를 자신의 평생 직업으로 보고 있다. 1965년, 그는 아버지와 함께 대한민국의 한센병 치료 시설을 방문했고, 한센병 환자들이 직면하는 차별을 직접 목격한 충격으로 한센병 관리의 필요성을 절감하여 자신의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다.[1]
수상 내역 |
---|
명예 학위 및 교수직 |
---|
2. 1. 한센병 퇴치 활동
사사카와 요헤이는 한센병 퇴치를 자신의 평생 직업으로 생각한다. 아버지인 사사카와 료이치도 한센병 퇴치에 힘을 쏟았고, 1965년 아버지와 함께 한국의 한센병 요양소를 방문했을 때, 한센병 환자와 회복자에 대한 차별을 직접 목격하고 그 충격으로 한센병 대책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활동을 시작했다.[1]‘한센병은 낫는다’는 올바른 지식을 보급하고, 한센병이 만연한 국가를 비롯한 각국에서 한센병 환자ㆍ회복자 및 정부 지도자, 보도기관 등과 대화를 추진하고 있다. 2001년 5월부터 WHO 한센병 퇴치 특별 대사로 활동하고 있다.[1]
1990년대에는 한센병 퇴치 방법으로 MDT(다종 약물 치료법)의 보급에 노력하여 세계 한센병 환자 수를 급격하게 줄이는 데 공헌했다. 그러나 한센병 환자는 병이 나아도 사회적 편견으로 취업과 자녀 교육에서 그 가족까지도 차별받는 것을 걱정하여 한센병을 의료문제뿐만 아니라 복합적인 인권 문제도 함께 가진 사회문제로 취급해야 한다고 제창했다. 2003년 7월 유엔 인권고등판무관 사무소를 방문하여 이 문제를 최초로 유엔인권위원회(현, 유엔인권이사회)에서 다루어 줄 것을 요청했다. 2004년 3월 유엔인권위원회 본회의에서 한센병으로 인한 차별문제를 호소하여 그 결과 인권보호촉진소위원회는 같은 해 8월 한센병과 차별문제를 정식으로 인권문제로 다루기 위한 조사를 실시했다. 2005년 8월과 2006년 8월 두 번에 걸쳐 위 소위원회에서 각국 정부, 유엔기관 등에 현 상황의 개선을 위한 권고 결의를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이를 바탕으로 2008년 6월 유엔인권이사회에서 일본 정부와 58개국이 공동으로 제안한 한센병으로 인한 차별 철폐를 호소하는 결의를 만장일치로 채택했다.[1] 인도에서는 한센병 회복자와 그 가족이 자립하여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사카와ㆍ인도ㆍ한센병재단’을 2007년에 설립했고, 이 재단에서는 인도 재계의 기부금 모금 활동도 펼치고 있다.[1]
국제적인 한센병 퇴치활동의 실적을 인정받아 2004년에 요미우리신문사에서 ‘요미우리 국제 협력상’, 2007년에는 인도에서 ‘국제 간디상’을 수상했다. 일본 정부는 한센병 인권계발 대사로 위촉하여 일본 대표로서도 한센병의 퇴치와 인권 외교를 펼치고 있다.[1]
2012년 1월, 미국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 등이 제작하고 그 해 봄 해외 방영을 예정했던 애니메이션 영화 「The Pirates! Band of Misfits」의 본편과 예고편에 한센병에 대한 차별적인 표현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한센병 환자와 완치자에 대한 오해와 편견, 차별을 조장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한 사사카와 요헤이는 즉시 제작사와 그 모회사 등에 해당 부분의 수정 또는 삭제를 요구하는 항의문을 보냈다.[4]
며칠 후, 제작사의 모회사인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의 제프 블레이크 부회장이 사사카와 요헤이에게 해당 영화에 묘사된 한센병 환자 및 완치자에 대한 차별적인 표현을 삭제했다는 답변을 보냈다.[4]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베이징 올림픽 조직위원회가 발표한 “올림픽 기간 중 외국인 출입국 및 중국 체류 기간 관련 법률 지침”에서 한센병 환자의 입국이 금지되었다. 사사카와 요헤이는 즉각 후진타오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와 자크 로게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장에게 법률 지침 철회를 요구하였고, 올림픽 개최 전에 철회되었다. 이는 같은 해 6월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일본 정부가 제안한 “한센병 환자, 회복자, 가족에 대한 차별 철폐 결의”가 만장일치로 채택되었고, 중국 정부도 공동 제안국으로 이름을 올렸음에도 불구하고, 법률 지침에서 한센병 환자를 차별한 사실이 있었기 때문이다.[5]
2. 2. 해양 문제
사사카와 요헤이는 해양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선박 통행량이 많은 말라카 해협의 안전 확보를 위해 비용 부담 방식의 새로운 기금 설치를 제안했다. 무해 통항권에 근거한 ‘해양 이용은 공짜’라는 생각을 배제하고, 현재의 국제 정세를 감안하여 이용자 부담의 필요성을 역설하며 전통적인 사고를 뒤집는 활동을 전개했다. 또한 ‘바다가 지켜준 일본에서 바다를 지키는 일본으로’라는 컨셉으로 해양 기본법 제정을 비롯한 새로운 해양 문제에 대한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2004년에는 차세대 해양 리더와 전문가 육성을 위해 국제연합-니혼 재단 펠로우십 프로그램을 설립하기도 했다.2. 3. 국제 협력
사사카와 요헤이는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후 10년간 20만 명에 이르는 피해 아동 검진, 말라카 해협의 이용자 부담을 통한 항행 지원 제도 창설,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 및 노먼 볼로그 박사와 함께 20년간 진행해 온 아프리카 식량 증산 운동, 세계 69개 대학 장학금 네트워크를 통한 차세대 리더 육성, 중국인 의사 2,000명 일본 초청 연수 제도 설립, 연중 이용 가능한 북극해 항로 개발 등 다양한 국제 협력 활동을 펼쳤다.[4]해외 지원 활동의 중점 사항으로 사람이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식량 확보', '의료 서비스', '교육'의 세 가지를 꼽았다.[4]
바츨라프 하벨 체코 대통령과 함께 11년간 포럼 2000을 개최하여 세계 각국의 지식인 및 저명 인사들이 모여 다양한 문제에 대해 의논하도록 했다.[4]
한센병 퇴치를 평생의 직업으로 생각하여, 1990년대에는 한센병 퇴치 방법인 MDT(다종 약물 치료법) 보급에 노력하여 세계 한센병 환자 수를 급격하게 줄이는 데 공헌했다. 2001년 5월부터 WHO 한센병 퇴치 특별 대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2007년에는 인도에서 '국제 간디상'을 수상했다.[4]
2004년에는 https://www.un.org/Depts/los/nippon/index 국제연합-니혼 재단 펠로우십 프로그램(United Nations – Nippon Foundation Fellowship Programme)을 설립하여 차세대 해양 리더와 전문가 육성에 기여하고 있다.
2. 4. 국내 사회 공헌
일본재단은 NGO, 자원봉사자 육성, 장애인 및 고령자를 위한 복지 서비스 확충, 전국 2만 대 복지차량 마련 등 행정의 손길이 닿지 않는 곳에 대한 지원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왔다.[4]동일본 대지진 발생 후에는 피해 지역에 대한 다양한 구호 활동을 전개했다.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에 재해 지원 센터를 설치하고, 자원봉사자들을 지원했다. 사망자 및 실종자 유족에게 위로금을 전달하고, 대학생 자원봉사대를 조직하여 파견했다. 또한, 재해 FM 방송국 지원 및 라디오 배포 등의 활동을 펼쳤다.[13][14][15]
대한치과의사회와 협력하여 "투스 페어리"라는 사회공헌 활동 프로젝트를 통해 금니 등의 치과 제거 금속을 재활용하여 얻은 자금으로 미얀마의 초등학교 건설 및 소아암 병동 건설에 사용하고 있다.
산케이신문에 기고한 글과 SAPIO에 게재된 제언 보고서에서 에도성 재건을 통해 일본인의 자긍심을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 5. 미얀마 문제
사사카와 요헤이는 미얀마와 관련된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다. 2012년 6월 11일, 일본 외무성은 사사카와를 미얀마 소수민족 복지 향상 대사로 임명했다. 이는 군정 시대부터 미얀마에서 한센병 대책, 전통 의약품 보급, 초등학교 건설 등을 지원해 온 실적이 평가된 결과였다.[4] 특히 오지인 샨 주에 초등학교 건설을 계획했을 때, 소수민족 간의 대립으로 인해 성공 가능성이 낮다는 전문가들의 비웃음에도 불구하고 200개교를 완공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현재는 종교 갈등이 심각한 라카인 주에 200개교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미얀마 민주화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일본 외무성은 사사카와의 폭넓은 인맥을 활용하고자 했다. 사사카와는 군정 시대 최고 지도자인 탄 슈에 대통령과 여러 차례 회담을 가졌으며, 2011년 12월에는 국민민주연맹(NLD) 사무소에서 아웅산 수치에게 바츨라프 하벨 전 체코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하기도 했다. 2012년 4월에는 테인 세인 대통령의 요청으로 도쿄에서 만찬을 함께 하는 등, 정부나 외무성에 의존하지 않고 민간 차원에서 요인들과 신뢰 관계를 구축해 왔다.
제2차 아베 내각은 2013년 2월 19일 사사카와를 미얀마 국민 화해 담당 일본 정부 대표로 임명하고, 2월 25일 외무성에서 임명장을 수여했다.[6] 2016년 3월 30일 국민민주연맹(NLD)의 틴 초 대통령 정권이 들어선 후에도 사사카와는 미얀마 군 최고 사령관 민 아웅 흘라잉과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7] 2021년 2월 1일 민 아웅 흘라잉이 쿠데타를 일으켜 전권을 장악한 후에도 같은 해 11월 13일에 회담을 가졌다.[8]
일본 경제계는 "아시아 마지막 경제 미개척 시장"으로 불리는 미얀마에서 사사카와 인맥을 통해 진출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쿠데타와 이후의 무력 진압에 대한 국제적인 비판이 커지면서 군부와 관련된 기업이나 사업체는 인권 문제로 인해 철수를 강요받았다.[9][10]
쿠데타 정권 하에서 사사카와의 활동에 대해서는 텔레비전 아사히의 보도 스테이션처럼 긍정적으로 보도하는 언론도 있지만,[11] 사사카와의 미얀마 개입이 개인적인 것인지, 공익재단법인으로서의 활동인지, 아니면 아베 내각 당시 미얀마 국민 화해 담당 일본 정부 대표로서의 활동인지 모호하다는 점과 위험성을 지적하는 의견도 존재한다.[12]
사사카와는 미얀마 평화 정착을 위해서도 노력했다. 2018년에는 미얀마 정부와 두 개의 소수민족 무장 단체 간의 미얀마 전국 휴전 협정(NCA)에 일본 정부 특사 자격으로 증인으로 서명했다. 일본은 2015년에 체결된 NCA에 이어 이 서명식에 초청받은 유일한 인접국이 아니었으며,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또한 미얀마 정부와의 협력으로 건설된 460개 학교 완공 기념식을 개최했다. 2002년에 시작된 미얀마 학교 건설 프로그램은 샨 주에 300개, 라카인 주에 100개, 아예와디 지역에 60개의 학교를 건설했다.
2017년에는 미얀마 남동부 분쟁 피해자들을 위한 제1차 재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건물 완공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후 미얀마 측의 추가 요청에 따라 일본 외무성의 지원을 받아 카인 주와 몬 주에 주택, 학교, 의료 센터 및 우물 건설을 포함하는 제2차 재활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2016년에는 5년간 약 50만 명에게 미얀마 분쟁 지역에 식량과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는 배포 프로그램을 완료했다. 또한 일본 외무성의 지원과 미얀마 정부의 동의를 얻어 주택, 학교, 보건소 등을 건설하는 재활 프로그램을 시작했는데, 이 프로그램은 2015년 전국 휴전 협정에 서명한 소수민족 무장 단체의 영향을 받는 지역을 포함했다.
2015년에는 미얀마 총선거에서 일본 정부 대표단을 이끌고 선거 참관인으로 활동하며, 선거가 공정하게 치러졌음을 확인했다. 또한 미얀마 정부와 8개 소수민족 무장 단체 간의 미얀마 전국 휴전 협정에 일본 정부 특사 자격으로 증인으로 서명했다.
2013년에는 미얀마 국가 화해를 위한 일본 정부 특사로 임명되어 미얀마 정부와 소수민족 무장 단체 간의 대화 촉진을 지원했다.
2012년에는 소수민족 무장 단체의 영향을 받는 미얀마 접근 불가 지역의 분쟁 피해자들에게 300만달러 상당의 식량과 의약품을 배포했다.
대한치과의사회와 협력하여 CSR 활동의 일환으로 2009년 6월 1일부터 “투스 페어리(Tooth Fairy)” (「치아의 요정」)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전국 치과병원에서 불필요하게 된 금니 등 치과 제거 금속을 일본재단에 제공하고, 재활용하여 얻은 자금을 미얀마 초등학교 건설이나 소아암 병동 건설에 사용하고 있다.
3. 논란
2008년 3월 4일 산케이 신문의 “정론” 란에서 담배 1갑을 1000엔으로 인상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쳐 논쟁이 일었다.[1] 담배 1갑이 1000엔이 되면 9할 이상의 흡연자가 금연한다는 보고도 있어, 건강, 방화, 청소년의 건전 육성 등을 위해 담배 가격 인상을 주장하고 있다.[1] 현대 용어의 기초 지식 2009』(자유국민판)의 건강 문제 항목에 “담배 1갑 1000엔 논쟁”으로 사사카와의 주장이 실려 있다.[1]
4. 수상 이력
연도 | 수상 내역 | |
---|---|---|
1989년 | ||
1995년 | ||
1996년 | ||
1997년 | ||
1998년 | ||
2000년 | ||
2001년 | ||
2003년 | ||
2004년 | ||
2006년 | ||
2007년 | ||
2010년 | ||
2011년 | ||
2013년 | ||
2014년 | ||
2015년 | ||
2016년 | Награда за отличие на председателя на БАН|불가리아 과학 아카데미 총장 특별상bg | |
2017년 | ||
2018년 | ||
2019년 | ||
2021년 |
5. 명예 박사 학위
연도 | 수여 기관 | 학위 종류 |
---|---|---|
2000 | 가나 케이프 코스트 대학교 | 명예 이학박사 |
2000 |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대학교 | 명예 이학박사 |
2001 | 중화인민공화국 옌볜 대학교 | 명예 이학박사 |
2003 | 몽골 경제아카데미 | 명예 경제학 박사 |
2003 |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의과대학교 | 명예 의학박사 |
2003 | 중화인민공화국 하얼빈 의과대학교 | 명예 의학박사 |
2003 |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 대학교 | 명예 이학박사 |
2004 | 스웨덴 세계해사대학교 | 명예 이학박사 |
2004 |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해사대학교 | 명예 이학박사 |
2005 | 인도 자타풀 대학교 | 명예 이학박사 |
2006 | 중화인민공화국 다롄 해사대학교 | 명예 이학박사 |
2007 | 미국 로체스터 공과대학교 | 명예 공학박사 |
2007 | 캄보디아 캄보디아 대학교 | 명예 인문학 박사 |
2008 | 코스타리카 평화대학교 | 명예 인문학 박사 |
2009 | 중화인민공화국 윈난 대학교 | 명예 교수 |
2010 | 러시아 자연과학 아카데미 | 명예 학회원 |
2012 |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대학교 | 명예 인문학 박사 |
2012 | 에티오피아 하와사 대학교 | 명예 농업 개발 박사 |
2013 | 영국 요크 대학교 | 명예 박사 |
2016 | 불가리아 소피아 대학교 | 명예 박사 |
2017 |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 | 명예 법학 박사 |
2018 | 몽골 공과대학교 | 명예 박사 |
2018 | 중화인민공화국 길림대학교 | 자문 교수 |
2019 | 필리핀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교 | 명예 인문학 박사 |
2023 |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대학교 | 명예 박사 |
참조
[1]
웹사이트
Japan's Sasakawa Yōhei Wins International Gandhi Peace Prize for Hansen's Disease Work
https://www.nippon.c[...]
2019-01-25
[2]
블로그
https://blog.canpan.[...]
[3]
문서
東京財団1999年度年次報告書(和文)
https://nippon.zaida[...]
2014-00-00 #날짜 정보 부족으로 0000-00-00으로 설정
[4]
문서
人事興信録第45版さ173
[5]
블로그
「社会貢献支援財団」―安倍昭恵会長―
http://blog.canpan.i[...]
2016-02-03
[6]
웹사이트
岸田外務大臣から笹川日本財団会長へのミャンマー国民和担当日本政府代表の内閣辞令書交付
https://www.mofa.go.[...]
[7]
뉴스
ミャンマー国軍最高司令官、笹川陽平日本政府代表と会談
https://www.myanmar-[...]
미얀마 뉴스
2019-02-17
[8]
뉴스
ミャンマー国軍トップ、笹川陽平氏と会談 日本財団会長
https://www.nikkei.c[...]
日経新聞
2021-11-13
[9]
뉴스
キリン、ミャンマー撤退 国軍系と合弁解消できず
https://web.archive.[...]
時事通信
2022-02-14
[10]
뉴스
ミャンマー撤退相次ぐ三菱商事、ガス権益売却へ 人権配慮や経済低迷で
https://www.nikkei.c[...]
日経新聞
2022-02-19
[11]
웹사이트
テレビ朝日 報道ステーション 大越健介の報ステ後記
https://www.tv-asahi[...]
2021-11-29
[12]
웹사이트
ミャンマー国軍に寄り添うままでいいのか…日本財団・笹川陽平会長が続ける「沈黙の外交」のリスク
https://president.jp[...]
プレジデント・オンライン
2021-12-25
[13]
웹사이트
日本財団とフィリップ モリス ジャパン株式会社、東日本大震災の被災地で子ども支援共同プロジェクト”Doorway to Smiles”を開始
http://www.pmi.com/j[...]
[14]
블로그
笹川陽平ブログ2011年06月9日
http://blog.canpan.i[...]
2011-06-09
[15]
웹사이트
フィリップ モリス ジャパン株式会社と日本財団が共同で被災地の子ども支援
http://www.pmi.com/j[...]
2012-10-24
[16]
문서
特殊法人等改革推進本部参与会議第43回議事概要
2005-11-14 #平成17년 = 2005년으로 변환
[17]
웹사이트
笹川陽平 日本財団会長が、国際海事賞受賞
https://www.mlit.go.[...]
[18]
웹사이트
第47回大倉喜七郎賞・第55回秀哉賞の受賞者決まる
https://www.nihonkii[...]
[19]
뉴스
読売新聞
2019-01-24
[20]
간행물
『官報』号外第14号
2019-05-21 #令和元年5月21日 = 2019-05-21로 변환
[21]
웹사이트
寺田前最高裁長官に桐花大綬章=市村正親さんら旭日小綬章-春の叙勲
https://www.jiji.com[...]
時事ドットコム
2019-05-21
[22]
웹사이트
令和元年度 文化功労者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19-11-03
[23]
뉴스
正論大賞に笹川陽平氏 新風賞は江崎道朗氏、特別賞に李登輝氏
https://www.sankei.c[...]
産経デジタル
2019-1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